본문 바로가기
기타정보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

by 스마티스트 2018. 9. 27.

출생신고를 하면 주민등록번호가 나오죠. 우리는 각각 13자리의 숫자로 구성된 주민등록번호를 가지고 있는데요, 앞의 6자리는 생년월일로 이루어지지만 뒤에 7자리는 도대체 어떠한 숫자인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한번쯤 궁금하게 생각해본 적 있으실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려고 해요. 앞서말했듯이 앞의 6자리는 생년월일로 이루어져있구요, 뒷부분 7자리는 성별이나 지역코드, 검증번호 등을 조합하여 이루어져있답니다.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는 어떤 숫자인지 그 의미가 궁금하셨던 분들은 오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그럼 지금부터 바로 포스팅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뒷자리 1번째 숫자는 성별



주민등록번호의 뒷자리 중에서 맨 첫번째 숫자는 바로 성별을 의미합니다. 이 부분은 대부분의 분들이 알고 계신 사실 중 하나라고 생각되는데요, 1은 남자, 2는 여자로 표시가 되죠.


그러나 2000년 출생자부터는 남자는 3, 여자는 4로 부여를 받는다고 합니다. 1800년대에 출생자분들께서도 성별코드가 남자는 9, 여자는 0이었다고 해요.


뒷자리 2~5번째 숫자는 지역번호


성별코드 다음 네자리 숫자, 즉 뒷자리에서 2~5번째 숫자의 경우엔 지역코드를 의미합니다. 이는 출생신고를 처음 접수를 한 지역이라고 하는데요, 우리나라에는 수천개의 읍,면,동으로 나뉘어지죠? 각각 주민센터에는 4자리로된 지역코드가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주민등록번호 뒷자리에서 2~5번째 숫자는 이 지역번호가 붙는다고 하네요.

뒷자리 6번째 숫자는 접수번호


그 다음으로 뒷자리에서 6번째 숫자는 출생신고 당일 읍/면/동사무소에서 해당 출생신고가 몇번째로 접수된 것이냐에 따라 번호가 부여됩니다. 보통 한동네에서 하루에 몇사람씩 출생신고를 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보통은 1~3 안의 숫자인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해요. 숫자가 커봐야 5를 넘는 경우가 별로없다고 합니다.

뒷자리 7번째 숫자는 검증번호


마지막으로 뒷자리 7번째는 검증번호를 뜻합니다. 검증번호는 주민등록번호의 앞자리인 생년월일을 포함한 앞 12개의 숫자를 모두 특정한 공식에 대입하여 산출을 한다고 하는데요, 앞 12자리 숫자가 차례대로 정해지면 마지막에 오는 번호는 딱 하나로 결정된다고 해요. 


이게 의외로 주민등록번호가 산정하기 쉽다고 하여 근래에는 주민등록번호 변경제도도 도입되었다고 하는데요, 주민등록번호 유출로 인해 피해를 입거나 입을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주민등록번호 변경이 가능하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