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신고를 하면 주민등록번호가 나오죠. 우리는 각각 13자리의 숫자로 구성된 주민등록번호를 가지고 있는데요, 앞의 6자리는 생년월일로 이루어지지만 뒤에 7자리는 도대체 어떠한 숫자인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한번쯤 궁금하게 생각해본 적 있으실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려고 해요. 앞서말했듯이 앞의 6자리는 생년월일로 이루어져있구요, 뒷부분 7자리는 성별이나 지역코드, 검증번호 등을 조합하여 이루어져있답니다.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는 어떤 숫자인지 그 의미가 궁금하셨던 분들은 오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그럼 지금부터 바로 포스팅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뒷자리 1번째 숫자는 성별
주민등록번호의 뒷자리 중에서 맨 첫번째 숫자는 바로 성별을 의미합니다. 이 부분은 대부분의 분들이 알고 계신 사실 중 하나라고 생각되는데요, 1은 남자, 2는 여자로 표시가 되죠.
그러나 2000년 출생자부터는 남자는 3, 여자는 4로 부여를 받는다고 합니다. 1800년대에 출생자분들께서도 성별코드가 남자는 9, 여자는 0이었다고 해요.
뒷자리 2~5번째 숫자는 지역번호
성별코드 다음 네자리 숫자, 즉 뒷자리에서 2~5번째 숫자의 경우엔 지역코드를 의미합니다. 이는 출생신고를 처음 접수를 한 지역이라고 하는데요, 우리나라에는 수천개의 읍,면,동으로 나뉘어지죠? 각각 주민센터에는 4자리로된 지역코드가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주민등록번호 뒷자리에서 2~5번째 숫자는 이 지역번호가 붙는다고 하네요.
뒷자리 6번째 숫자는 접수번호
그 다음으로 뒷자리에서 6번째 숫자는 출생신고 당일 읍/면/동사무소에서 해당 출생신고가 몇번째로 접수된 것이냐에 따라 번호가 부여됩니다. 보통 한동네에서 하루에 몇사람씩 출생신고를 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보통은 1~3 안의 숫자인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해요. 숫자가 커봐야 5를 넘는 경우가 별로없다고 합니다.
뒷자리 7번째 숫자는 검증번호
마지막으로 뒷자리 7번째는 검증번호를 뜻합니다. 검증번호는 주민등록번호의 앞자리인 생년월일을 포함한 앞 12개의 숫자를 모두 특정한 공식에 대입하여 산출을 한다고 하는데요, 앞 12자리 숫자가 차례대로 정해지면 마지막에 오는 번호는 딱 하나로 결정된다고 해요.
이게 의외로 주민등록번호가 산정하기 쉽다고 하여 근래에는 주민등록번호 변경제도도 도입되었다고 하는데요, 주민등록번호 유출로 인해 피해를 입거나 입을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주민등록번호 변경이 가능하다고 합니다.